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마스터링비트코인
- 개발
- 레디스
- 솔리디티
- 문자열
- 마스터링 비트코인
- 비트코인
- 공개키
- 주소
- smart contract
- 스마트컨트랙트
- node js
- Redis
- keras
- 백서
- js
- 파이썬
- 암호화폐
- 알고리즘
- 이더리움
- 마스터링 이더리움
- 블록체인개발
- javascript
- python
- solidity
- pythonic
- Ethereum
- DAPP
- 개인키
- 블록체인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합의알고리즘 (1)
개발이야기
안녕하세요.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가 요즘 관심있게 보고있는 코스모스의 백서를 정리해볼 생각입니다.백서정리가 메인이 아니라 백서를 참고하면서 코스모스에서 중요한 내용을 중심으로 다뤄볼 생각입니다. [그림 1] - 코스모스 비트코인 이외의 새로운 퍼블릭 블록체인이나 새로운 블록체인 아키텍쳐를 표방하는 플랫폼들의 출시이유는 항상 비슷합니다. 기존 PoW 방식의 문제점(환경문제, ASIC 채굴 문제)를 극복하겠다! 또는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겠다(bitcoin-NG, segwit 등) 등의 이유를 명시하면서 자신들이 출시하게된 정당성을 나타냅니다. 코스모스의 등장배경도 위와 같습니다. PoW의 문제를 해결하여 새로운 합의 알고리즘을 제시하고, 비트코인 이더리움이 가지는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출시했다고 밝힙니다..
블록체인 /백서 정리
2018. 7. 31. 12:40